문서 검색 결과(29,337)
-
-
-
-
-
[엽기유머] 세상은 넓고, 변태는...(레전드)
수원지법 형사6단독 송병훈 판사는 자신의 배설물과 배변 모습을 찍은 동영상 등을 인터넷을 통해 판매해 억대의 수입을 거둔 혐의 (정보통신망 이용촉진 및 정보보호 등에 관한 법률상 음란물유포)로 불구속 기소된 이모(42·여)씨에 대해 징역 8월에 집행유예 2년, 추징금 1억987만4400원을 선고했다고 7일 밝혔다. 또, 보호관찰과 240시간의 사회봉사를 명령하고, 압수한 음란물 등을 몰수했다. 송 판사는 "피고인은 사진이나 동영상은 팔지 않고, 해당 물건만을 팔았다고 주장하지만 조사한 증거들을 종합하면 해당 사진이나 동영상을 함께 판매한 것으로 판단된다"며 양형 이유를 설명했다. 송 판사는 "피고인이 사진이나 동영상 없이 물건만을 판매한 경우에는 장부에 '팬티, 원피스, 치마, 나시'라고 기재한 점, 구매물품란에 기재된 'pj-93팬티'가 외장하드디스크 내 '연이작업-팬티(pt)(0)-삼각팬티' 폴더 안에 같은 이름으로 저장돼 있는 등 피고인은 구매자들에게 확인시키려고 물건과 동영상 등을 함께 보낸 것으로 증명된다"고 덧붙였다. 이씨는 2010년 3월11일부터 2013년 3월12일까지 만 3년 동안 서울시 구로구 개봉동 자택에서 인터넷 대형포털사이트 커뮤니티 및 해외음란사이트 소라넷 등에 속옷 등을 착용하고 있는 자신의 사진을 게시한 후 구입을 원하는 사람들에게 이메일로 동영상과 사진을 보내주고 물건은 택배를 통해 보내는 등 같은 수법으로 총 1,296회에 걸쳐 합계 1억 987만 4,400원의 부당이득을 취한 혐의로 기소됐다. 이씨는 배설 장면을 동영상으로 제작하고, 배설물을 용기에 담아 남성들에게 1건당 3~5만원씩 받고 판매하기도 했다. daidaloz@news1.kr
아임OK작성일 2023-11-26추천 8
-
-
-
-
-
-
-
-
-
-
-
-
-
[정치·경제·사회] 교육부의 입시제도 개편에 대한 의견.
2023년 10월 교육부는 드디어 고교학점제에어울리는 내신 산출 방식과 수능 시험 방식을공개했습니다.많은 예상을 뒤엎고서-논술형 수능을 버리고객관식 수능을 택했으며,이와는 엇박자로내신에서는 서논술형+수행평가의비중이 확대되는 고교학점제를택했습니다.더 놀라운 사실은 고교학점제의내신 산출 방식과는 상충되는내신 등급제를 유지하기로 결정했습니다.이 것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일까요?예 맞습니다.아무것도 변하는 것이 없습니다.역시 보수는 지키는 것임을 증명했습니다.1) 5등급제에서 1등급의 의미변하는 것이 아주 없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사실상 학령인구가 줄어드는 상황에서9등급은 거의 의미가 없기도 했고,이에 발 맞춰 비율을 달리한 5등급제를선택한 것은 크게 문제가 없습니다.단지, 대규모 변화를 예고한 상황에서너무 소극적인 변화이고 기존 예고와다르다 보니 실망감이 있었다고 할까요.(여기서 실망감은 교육과 입시의 변혁에 대한)학령 인구가 줄어들고 있으니까요..보통 우리 아이들이 갔으면 좋겄다..하는 대학의 입학정원은전체 학령인구의 약 10% 정도가 맞습니다.21학년도 기준으로 약 7~8% 정도고향후 아이들이 계속 줄어들면10%정도 되겠죠.여기서 5등급제 1등급의 위용이 드러납니다.5등급제 하에서 1등급의 정원 비율은 10%입니다.이 10%가 바로 우리 아이들이 원하는대학 정원이라고 생각해주시면 좋겠습니다.2) 수능 공통 과목의 의미수능 공통과목이 되면서 대체 선택과목제는왜 시행한걸까.. 라는 생각을 했습니다.이런 부분은 사실 국어, 영어, 수학의 경우에는정말 별반 차이가 없을 겁니다.가장 큰 문제는 탐구 과목들이죠.수능에서 통합사회와 통합과학에는고2~고3에 선택하는 모든 사탐 내용을다루고 있지 않습니다.응? 무슨 소리야?통합사회를 예로 말씀드리면,이후 선택과목에서 지리, 경제, 사회문화, 정법과는연계가 깊지만 생윤, 윤사, 동아시아사, 세계사와는거의 관련이 없습니다.무슨 소린고 하니, 아이들은 수능의 공통과목인 통합사회를 위해서윤리 계열 과목을 선택할 일은 없을 거라는 뜻입니다. 결국 이번 결정으로 과목별 유불리를 줄이겠다는교육부의 예측은 다시 엇나가겠네요.또한 사회계열 선택과목은 학생부종합전형에서도크게 위계를 따지는 과목들이 아니기 때문에이런 선택과목 날림현상은 사회계열에서눈에 띄게 나타날 것 같습니다.3) 입시의 향방은?입시의 방향은 참으로 어렵겠으나,수시와 정시 모두에서 대학별 고사의부활은 따 놓은 당상이겠습니다.면접, 논술 등의 고사가 부활할 확률이높고 특히 면접에 중요성이 커지지 않을까요.이런 면접은 생활기록부 면접일 수도 있지만제시문 면접이 될 확률도 높습니다.일례로,현재 서울의 명문대인 J의 경우 교과전형으로입학하는 학생들의 내신 성적이 보통1등급 중후반입니다.지금까지 1등급은 4%였는데,이제부터 1등급은 10%라면..갑자기 포함된 6~10% 학생들을 검증할 기회가대학에도 있어야겠죠.네. 교과전형에서도 면접이나 논술의전형이 추가될 수 있고,정시 전형에서도 면접이나 논술의전형이 얼마든지 추가될 상황에놓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어차피 학생 선발은 대학 권한이니까요.뭐가 문제냐고요?항상 말씀드리지만 학생들이 문제지대학이나 사회는 문제가 없습니다.이번 교육부의 결정을 정확히 평가하려면적어도 현 중2가 대학에 가고, 중1까지는입시를 경험해봐야 결판이 날 겁니다.예 5년이나 남았습니다.아직 긍정, 부정에 대해서 이야기하기는어렵지만, 기형적인 제도인 것은 분명합니다.하지만 또 모르죠.다윈이 말했듯이 이런 돌연변이가우리를 진화의 길로 이끌지도 모를 노릇입니다.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출처: 대학's Luv: 네이버 블로그
-
-
문서 더보기 >